【고양인터넷신문】고양시의회 제2차 정례회가 열린 지난 26일 송규근 의원이 최성 전 고양시장의 킨텍스 지원부지 헐값 매각 의혹(2020년 6월 3일자 ‘고양 킨텍스부지 헐값매각 추정손실 1천억대··고양시 감사 착수’ 기사참조)에 대한 시 감사관 시정질문에서 이재준 시장이 “(임기 내)감사 결과를 내겠다(도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송규근 의원은 고양시 보조금사업 등 혈세낭비 의혹과 관련해 시 감사의 미적지근한 부분에 대한 집중 질의를 이어가는 과정에서 지난해 상반기 김서현 시의원이 최성 전 시장 시절 이뤄졌던 ‘C1-1, C1-2부지 헐값 매각’ 의혹 제기 및 시민단체의 ‘C-2부지 사기 매각’ 의혹에 대한 질의에서 “당시 문제제기 후 현재 21개월이 지났는데, (감사에 따르면) 당시 검토 소홀, 저가 매각, 공유재산 관리계획 미수립, 관련 법 위반 그리고 지구단위계획도 잘못됐다고 나왔다”며 “장장 (감사가) 21개월이나 흘렀는데 결론은 뭔지,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고 물었다.
이와 관련 실무 담당자인 전희정 감사관은 “문제 제기 이후 상당한 시간이 지난 것은 인정하지만 킨텍스 부지 매각 관련 특정감사는 현재 진행 중”이라며 “감사과정을 살펴보면 킨텍스 C1-1, C1-2 부지 매각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2019년 5월에 국토교통부를 경유하여 한국감정원에 감정평가 타당성 조사를 의뢰하고 동시에 C1-1, C1-2 부지의 가격을 GTX-A 노선 확정발표 시점으로 소급, 재산정하는 컨설팅 용역을 감정평가법인에 의뢰했으나 결과가 나오기 전에 고양시의회는 (2019년 7월에) 감사관실과 협의하여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를 하였고 감사원은 3개월 뒤인 2019년 10월 18일 ‘청구기간 도과 및 감사실익 없음’ 등의 사유로 감사청구를 기각·각하하여 불가피하게 시 자체 감사관실에서 감사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감사관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사건은 어느 정도 구체화되었고, 이미 다 알고 있는 것처럼 당시 부지 매각이 잘못되었는지를 확인했지만 당시 주요 정책결정권자들의 책임소재를 가리는 문제를 (감사실에서) 안 할 수가 없는데, 그 부분까지 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추가조사가 필요하다”며 양해를 구했다.
이에 추가질문에 나선 송규근 의원은 이재준 시장을 상대로 “솔직히 킨텍스 지원부지 헐값 매각 건을 마무리 지으실 생각은 있으가”라고 물었고, 답변에 나선 시장은 “당연히 마무리 지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재준 시장은 이전 시장시절 의혹이 제기됐던 요진 와이시티(Y-city)와 풍동에 있는 서울YMCA 청소년수련관(2016년 8월 9일자 ‘고양시와 서울YMCA 결탁, 풍동 청소년수련관 부지 특혜 의혹’ 기사참조)을 언급하기도 하며 “(전과 달리) 민선 7기 들어와서 기업주택조합 설립허가 9개를 반려했고, LH 관련해서도 삼송역 환승주차장에서 95억을, 원당4구역에서 약 80억 원, 원당1구역에서는 30억 정도 기부를 받고, 스타필드 문제도 시의회의 도움으로 약 50억 정도 받은 등 노력하고 있다”며 “그래서 C1-1, C1-2 이런 부지도 마찬가지지만 감사결과에 따를 것이고, C4부지 같은 경우는 천억 정도 감정평가금액에서 이익을, S2부지는 500억 정도가 남는 등 고양시 재산들이 싸게 팔리거나 하는 것은 저도 인정하기 어렵다는 말씀을 드리고, 그래서 감사결과 나오는 대로 의회에 보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재준 시장이 고양시 (토지)자산 상승 및 기부채납을 받게 된 이제까지의 노력을 피력한 근거는 지난 5월 삼송역 주차장에 임시집무실을 마련하면서까지 LH와 투쟁에 나선 결과로 157억 원대의 삼송역 환승주차장 부지를 63억 원에 매입하기로 한 결단과 답보상태에 놓인 원당4구역 뉴타운사업 당당부서인 재정비촉진과 과장 및 직원을 교체하면서 해당부서와 현금청산자들로 인해 약 80억 원을 회수하는 등 성과를 이뤄낸 것에 대한 확신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고양시 개발사업과 관련, 업체로부터 합당한 이익(기부체납 등)을 얻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지난 6월 고양시 마이스(MICE)산업 메카로서 킨텍스 활성화 및 도시경쟁력(기반시설) 강화라는 목적으로 조성된 킨텍스 지원부지를 최성 전 고양시장 시절 개발업자들에게 매각하면서 특혜 및 헐값매각 의혹이 제기된 지원부지(C1-1, C1-2부지 및 C2부지)가 결국 1천억 원대의 손실을 불러왔다는 감사 중간 결과가 나오면서 검찰 고발 및 관련 공무원 등에 대한 법적 처벌에 대한 요구가 거세졌다.